https://www.nikkoam.com/products/etf/lineup분배금 순으로 정렬해서 보니 눈에 들어오는 건 1566 上場インデックスファンド新興国債券4.58%의 분배금, 1년에 6번 분배하는 신흥국채권 ETF다. 1주씩 살 수 있으니 더욱 관심이 간다. 2093 上場Tracers 米国債0-2年ラダー(為替ヘッジなし)10주씩 사야 되고 년 4번 분배, 3.81%의 분배금 https://nextfunds.jp/ranking/ 1560 말레이시아 주식 ETF는 3년새 40.94% 오름. 최근 한달만 해도 7.89%. 1489 NF・日経高配当50 ETF는 3년 동안 125% 오름
농지를 산다고 했을 때 그 농지에서 얼마나 많은 농산물을 거둘 수 있을지를 고려해서 매수한다면 투자이고 그 농지를 얼마나 비싸게 되팔 수 있을지를 고려해서 매수한다면 투기가 된다. 주식이라고 하면얼마나 비싸게 되팔지를 고려하여 매매한다면 투기가 되고해당 기업이 미래에 얼마나 많은 이익을 만들어낼지를 고려해서 매매한다면 투자가 된다. FX나 CFD와 같은 시세차익은 전형적인 투기라고 볼 수 있다. 하지만 투기가 나쁘다는 것은 아니다. 누구나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이익 획득 수단의 하나일 뿐이다. 다만 본질을 무시하고 가격만을 본 채로 지속적으로 성공할 수 있을까? 농지에서 어떤 농산물을 만들 수 있는지는 알지도 못한채 땅 가격의 움직임만을 보는것은다소 허무하고 위태로워 보인다. 어떤 레스토..
구체적인 투자 액션 플랜, 이 액션 플랜을 지지하는 근거, 그리고 결과를 기록하고 성공/실패에 대한 복기. 이를 꾸준히 하는 것이다. 그리고 경제와 투자 전반에 대한 지식을 꾸준히 공부하는 것. 구체적인 투자 액션 플랜은 1)어떤 종목을 2)언제 확인했을 때 3)어떤 상황이라면 4)얼마만큼 매수/매도할지를 미리 앞서 정해놓는 것이다. 의외로 아무런 생각없이 HTS에 접속해서 이것저것 둘러보다 느낌가는데로 매수/매도하거나 아니면 그냥 끄거나를 반복하는 경우가 많다. 이러한 경험이 많이 쌓인다고 해서 내공이 쌓이기는 힘들다. 오히려 지치고 시간 낭비에 가까울 수 있다. 따라서 나는 앞으로도 꾸준히 블로그에 이 내용에 근거하여 투자 액션 플랜과 그 결과를 기록해 나갈 생각이다.